Title: 3년간의 부자수업 : 네이버 블로그



Title: 3년간의 부자수업 : 네이버 블로그

전라도 김장김치 담는 법 (ft. 친정엄마 비법 전수 엄청난 함정이 있다)​​​올해 77세이신 친정엄마는 자주 말씀하시지요.내가 밭농사를 더 못하고 🥬도 담그기 힘든 상황이 되면 김치를 대신 담아달라고요.🤣이 나이가 되어도 친정엄마께서 담가주신 🥬를 받아먹기만 하고 있는데 말이에요.오래전에 깍두기 담기를 도전했지만 역시 쉽지 않았어요. 그래서 그 뒤부터는 동치미만 담그고 있어요.🙄😄​​이번에 올라오신 김에전라도 김장김치 담그는 비법을 전수받아 보기로 했어요.직접 모든 재료를 밭에서 키우시고 양념을 해서 김장 담그는 것까지 50년 넘는 세월 이어오신 엄마의 비법 노하우 정리해 봤어요.​​전라도 젓갈 준비하기🍎멸치 젓갈 담그기봄이 되면 시골 동네에 생멸치를 파는 장사꾼이 찾아 다니나 봐요. 그럼 싱싱한 멸치를 사서 흐르는 물에 여러 번 헹군 후 바구니에 담아 물을 빼줍니다. 그리고 미리 사서 간수를 잘 뺀 천일염과 물을 뺀 생멸치를 비율로 잘 섞어서 항아리에 담아 입구를 잘 밀봉하고 그늘에 보관합니다.봄에 담근 멸치젓은 가을 김장김치를 담을 때쯤 사용할 수 있다고 해요.멸치 한 상자에 소금은 2대가량 넣게 되는데 섞을 때 미끈미끈한 것보다 섞는 소금이 까슬까슬 느껴지는 정도로 절여야 한다고 해요. 파시는 분이 대략적인 비율을 알려주신다고 하니 참고하면 될 것 같아요.​​🍇새우젓 담그기시판하는 새우젓은 많이 짜기 때문에 별도로 액젓을 넣어 숙성시킨 새우젓을 담그신다고 해요.10월이 되면 싱싱한 새우를 구매한 후 잘 씻어 물기를 빼줍니다.그리고 이전해에 담아 잘 익혀둔 멸치 액젓을 새우가 잠길 정도로 붓고 김치냉장고에 넣어 한 달여 동안 숙성시킵니다.​​김장 배추 준비하기밭에서 잘 키운 배추를 캐서 뿌리를 제거합니다. 배추를 반으로 쪼개고 난 후 반쪽의 뿌리 부분에 칼집을 살짝 넣어 둡니다.​통에 소금물을 적당히 준비하고 잘라 놓은 배추를 소금물에 흠뻑 담가서 별도로 준비된 통에 담습니다. 그때 굵은소금을 조금씩 칼집 넣은 부분에 올려 둡니다. 준비한 배추를 모두 같은 방법으로 반복해서 쌓은 후 소금물을 붓고 배추가 뜨지 않도록 눌러 둡니다.그리고 위아래를 한 번 뒤집어 주는 작업을 합니다.하루 혹은 이틀 동안 이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기준은 배추 줄기의 굵기에 따라 다릅니다.​​잘 절여진 배추는 흐르는 물에 잘 씻어서 물기를 잘 빼줍니다. 하루 혹은 이틀 정도면 충분하다고 해요.​알타리와 갓은 위의 소금물에 넣어서 절이는데 오래 절이지 않는 게 중요합니다. 단지 숨이 죽을 정도면 충분하다고 해요.​김장 양념 준비하기💢멸치 젓갈 준비하기잘 삭힌 멸치젓은 바구니에 배보자기를 깔고 하루 동안 액젓으로 내립니다. 채에 걸러진 멸치 뼈는 물을 조금 붓고 끓여서 다시 액젓으로 내려서 사용할 수 있다고 해요.​💢새우 젓갈 준비하기숙성시킨 새우젓은 믹서기에 넣어 곱게 갈아줍니다.​​💢육수 만들기가마솥에 물과 디포리, 다시마, 양파와 껍질, 무, 대파 뿌리를 넣고 오래 끓입니다. 다 끓인 육수는 걸러서 찹쌀을 넣고 찹쌀죽을 준비합니다. 이때 찹쌀은 배추 100포기를 기준으로 1대 정도 넣으면 된다고 해요.​💢황새기 준비하기조기 새끼인 황새기는 대가리와 몸통을 분리해서 대가리는 물을 조금 넣고 삶아 채에 내리고 그 육수에 몸통을 넣고 끓인 후 믹서에 잘 갈아서 준비합니다.​​💢나머지 재료 준비하기무, 사과, 양파, 청강, 넉넉한 양의 마늘, 생강 조금을 넣고 믹서기에 잘 갈아줍니다. 쪽파와 갓은 잘게 썰어서 준비합니다.준비된 모든 재료와 고춧가루를 섞습니다. 간이 싱거울 경우 멸치 액젓을 더 넣어 간을 합니다.​​배추에 양념을 바를 때는 잎 부분보다 줄기 부분에 양념이 많이 묻도록 합니다.통에 담을 때는 겉잎으로 잘 감싸서 속이 위로 오도록 담습니다.​보관하기통에 담아 시골 마당 한쪽편에 있는 저장고로 들어가요. 아빠가 계실 때 만드신 건데 식자재 보물창고거든요. 그곳에 보관하면 오래 두고 먹어도 맛있는 묵은지를 먹을 수 있어요.​​바로 먹을 두 통 정도만 집으로 가져와서 반나절 정도 시원한 곳에 보관해요. 그리고통에 김치 국물이 조금 생겼을 때 꼭꼭 눌러준 후 김치냉장고에 넣어주면 됩니다.​​동치미 담는 방법밭에서 재배한 무를 잘 씻어서 물기가 있는 상태로 굵은소금을 전체에 묻혀서 항아리에 차곡차곡 넣어줍니다.그렇게 3일이 지나면 소금이 녹게 돼요.​​적당량의 간 마늘과 간 생강 조금 그리고 간 고추와 간 양파를 천 주머니에 넣어요. 넓은 그릇에 물을 담고 주머니에 담은 재료를 주물주물…. 안에 넣은 재료들이 물에 우러나오도록 한다고 해요.​그렇게 우러나온 물을 무가 담긴 항아리에 붓고 다시 물을 담아서 주물주물…. 그렇게 항아리가 모두 차도록 반복합니다. 그리고 소금으로 간을 하는데 조금 짭조름할 정도로 간을 해야 맛있다고 하셨어요.​추가로 배와 사과는 자르고, 쪽파, 흰 갓을 넣고 감칠맛을 위해 단맛나는 조미료를 조금 추가하면 동치미 담그는 건 끝이나요.​​20일 정도 시간이 지난 후에 항아리에서 적당히 맛이 난 동치미는 먼저 통에 무를 나누어 담고 바닥까지 국물을 잘 섞은 후 통에 나누어 담아요. 그리고 저장고에 저장하게 되면 오랫동안 맛있는 동치미를 먹을 수 있어요.반나절 넘게 엄마와 김장 담그는 얘기를 나누며 글을 써 봤어요. 이제 연세가 많으셔서 예전과는 사뭇 달라지셨지만 김장 담그는 비법만은 자신감이 가득 찬 엄마라서 정말 좋아요. 시간이 걸리고 과정이 복잡하지만 미래에 어느 날 엄마의 솜씨가 그리울 때 한 번쯤 꼭 담아볼 것 같아요.하지만그녀만의 비법은 함정이 있어요. 바로 계량이 안되어 있어서 적당히 감으로… 해야한다는 거에요. ^^잘 할 수 있겠지요?​​​​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 넷플릭스 이용권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 혜택 확인 및 가입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 티빙 이용권

 

이전 글: 혼자가 아닌 가족의 안전을 지키는 스마트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