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 기준 아래를 읽어보시면 2023 주민등록 사실 조사에 대한 비대면 참여 방법과 대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번 조사는 주민등록지와 실제 거주지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모든 국민이 참여해야 합니다.
주민등록 사실 조사 개요
조사 정의
주민등록 사실 조사는 국민의 등록된 주소와 실제 거주하는 주소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출생 미등록 아동도 확인하게 되며, 매년 모든 국민이 참여해야 합니다.
조사 일정
- 비대면 조사 기간: 2023년 7월 24일 ~ 8월 20일
- 대면 조사 기간: 2023년 8월 21일 ~ 10월 10일
비대면 조사 참여 방법
참여 절차
비대면 조사는 정부 24 앱을 통해 진행되며, 아래 절차를 따릅니다:
1. 앱 다운로드: PC에서는 진행할 수 없으니 모바일 기기에 정부 24 앱을 다운로드합니다.
2. 본인 인증: 간편인증(네이버, 카카오 등) 또는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합니다.
3. 거주지 확인: GPS를 통해 본인 거주지를 확인하고, 세대원 중 1명이 대표로 참여합니다.
중점 조사 대상
- 복지 취약계층
- 사망 의심자
- 장기 결석 및 미취학 아동
- 100세 이상 고령자
- 장기 거주 불명자
이들 중점 조사 대상자는 비대면 조사 참여 후에도 방문 조사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과태료 및 자진 신고
과태료 안내
2023 주민등록 사실 조사 기간 동안 자진 신고를 하면 과태료의 최대 80%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조사 기간 내에 자진 신고하지 않으면 주민센터의 조사로 인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자진 신고의 중요성
미리 비대면으로 자진 신고를 통해 과태료를 경감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거주지와 주민등록지가 다른 경우, 반드시 비대면 신고를 통해 과태료를 줄일 수 있도록 하세요.
결론 및 권장 사항
정부 24 앱을 통해 주민등록 사실 조사는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비대면 조사 기간 내에 참여하여 불이익을 피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주민등록 사실 조사란 무엇인가요?
주민등록 사실 조사는 등록된 주소와 실제 거주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조사입니다.
비대면 조사 참여 방법은 무엇인가요?
정부 24 앱을 통해 본인 인증 후 거주지 정보를 제출하여 참여할 수 있습니다.
조사 기간 중 자진 신고를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자진 신고를 하지 않으면 주민센터에서 직접 방문 조사하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과태료는 어떻게 감면받을 수 있나요?
조사 기간 동안 자진 신고를 하면 과태료의 최대 80%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중점 조사 대상자는 누구인가요?
복지 취약계층, 사망 의심자, 장기 결석 아동 등 특정 그룹이 중점 조사 대상에 포함됩니다.
비대면 참여 시 어떤 정보가 필요한가요?
본인의 세대 정보와 위치 정보가 필요하며, GPS를 통해 거주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전 글: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사용처 및 구매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