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폐의약품 처리는 환경 보호와 인체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사용하지 않거나 유효기간이 지난 약품을 잘못 처분할 경우,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폐의약품을 올바르게 버리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폐의약품의 유통기한
병원 처방약의 유통기한
각 약품의 유통기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루약: 조제일로부터 6개월
– 시럽제, 점이제, 점비제, 가글제: 개봉 후 1개월 이내
– 연고 및 크림류: 6개월까지
– 1회용 안약: 개봉 즉시 사용 후 폐기
유효기간 초과 약품 처리
유효기간이 지난 약품은 즉시 올바르게 폐기해야 합니다. 무분별하게 버릴 경우, 환경 오염과 인체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폐의약품과 일반쓰레기
환경 오염의 원인
폐의약품을 일반 쓰레기와 함께 버리거나 하수구에 배출하면, 이는 토양과 하천에 유입되어 수질 오염을 초래합니다. 항생제 및 호르몬제 성분이 분해되지 않고 환경에 잔류하면 생태계의 균형을 해칠 수 있습니다.
인체 건강 위협
폐의약품이 축적된 동식물을 섭취할 경우, 인체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폐의약품은 반드시 적절한 방법으로 분리배출되어야 합니다.
폐의약품 수거 방법
수거함 및 우체통 위치
2024년 1월부터 약국에서 폐의약품 배출이 불가능해집니다. 폐의약품은 아래의 장소에 분리배출할 수 있습니다:
1. 구청, 주민센터, 보건소 등에 위치한 폐의약품 수거함
2. 우체통
서울시에서는 스마트 서울맵을 통해 인근 폐의약품 수거함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폐의약품 분리배출 방법
폐의약품을 올바르게 분리배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알약: 약 봉투를 분리하고 캡슐이나 정제를 따로 비닐에 모아서 배출
– 가루약: 약 봉투를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모아 배출
– 시럽약: 새지 않도록 밀봉하여 배출 (개인정보 스티커는 제거)
– 안약, 연고: 겉종이 박스만 분리하고 그대로 배출
주의사항
- 홍삼, 영양제 등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으로 간주되어 폐의약품 수거 대상이 아닙니다.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 우체통에 폐의약품을 배출할 경우, 회수 봉투나 일반 봉투에 폐의약품을 밀봉하여 표시 후 배출해야 합니다. 물약은 우체통에 배출할 수 없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폐의약품은 어떻게 버려야 하나요?
폐의약품은 반드시 별도의 수거함이나 우체통을 이용해 분리배출해야 하며, 일반 쓰레기와 함께 버려서는 안 됩니다.
질문2: 폐의약품 수거함은 어디에 있나요?
폐의약품 수거함은 구청, 주민센터, 보건소 등 공공기관에 위치하며, 서울시에서는 스마트 서울맵으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질문3: 폐의약품 배출 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약품의 종류에 따라 분리배출 방법이 다르므로, 반드시 주의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홍삼이나 영양제는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질문4: 폐의약품을 우체통에 어떻게 배출하나요?
폐의약품을 우체통에 배출할 때는 회수 봉투나 일반 봉투에 밀봉하여 폐의약품 표시 후 배출해야 하며, 물약은 배출할 수 없습니다.
질문5: 폐의약품 배출 시 개인정보는 어떻게 처리하나요?
약품 포장에 있는 개인정보 스티커는 반드시 제거하고 배출해야 합니다.
질문6: 폐의약품을 처분하지 않고 보관하면 어떻게 되나요?
유효기간이 지난 폐의약품을 보관하면 환경 오염과 건강 위험이 증가하므로, 즉시 올바르게 처분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