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등록 사실조사는 중요한 법적 절차로, 이를 기피할 경우 최대 5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비대면으로 진행하는 방법과 주의사항을 안내하겠습니다.
조사 기간
전체 조사 기간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2024년 7월 22일부터 11월 18일까지 진행됩니다.
비대면 조사 기간
비대면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간은 2024년 7월 22일부터 8월 26일까지입니다. 이 기간 내에 온라인으로 참여하지 않으면, 8월 27일부터 10월 15일까지 방문조사가 진행됩니다.
중점조사 대상 세대
중점조사 대상 세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복지 취약계층
– 사망 의심자
– 장기 결석 및 학령기 미취학 아동
– 100세 이상 고령자
– 장기 거주 불명자
이들 세대는 비대면 조사에 참여하더라도 방문 조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과태료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이유 없이 기피할 경우 최대 5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이 점은 반드시 유념해야 합니다.
비대면 사실조사 주의사항
비대면 조사에 참여할 때는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 정부 24 앱을 통해서만 가능: PC로는 참여할 수 없습니다.
– 주민등록상 주소지에서 진행: 본인의 주소지에서만 참여 가능하며, 위치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GPS 기능이 켜져 있어야 합니다.
– 로그인 필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본인 인증을 통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비대면 주민등록 사실조사 방법
- 정부 24 앱 실행: 메인 화면에서 ‘비대면 사실조사’를 선택합니다.
- 로그인 진행: 인증서, 아이디, 간편 비밀번호, 지문 보안 인증 중 하나로 로그인합니다.
- 개인정보 활용 동의: 동의 후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 유의사항 확인: 확인 후 ‘참여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본인 정보 확인: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확인하고 ‘다음단계’로 진행합니다.
- 세대주 및 세대원 정보 확인: 정보를 확인한 후 ‘다음단계’를 누릅니다.
- 정보 확인: ‘실제와 같음’에 체크하고 ‘다음단계’를 클릭합니다. 세대 정보가 변경된 경우 ‘실제와 다름’을 선택해야 합니다.
- GPS 정보 확인: ‘확인’ 버튼을 눌러 현 위치를 주소로 변환합니다.
- 주소지 정보 확인: 주소지 정보와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자료제출’을 선택합니다.
- 자료 제출 완료 확인: 제출 완료 메시지를 확인하고 ‘확인’ 버튼을 눌러 모든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비대면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간편하게 온라인으로 진행할 수 있으니, 기한 내에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비대면 조사에 참여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비대면 조사에 참여하지 않으면 8월 27일부터 10월 15일까지 방문조사가 진행됩니다.
비대면 조사는 어디에서 진행해야 하나요?
비대면 조사는 주민등록상 주소지에서만 진행할 수 있으며, GPS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어야 합니다.
비대면 조사 참여 시 별도의 회원가입이 필요한가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본인 인증을 통해 간편하게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중점조사 대상 세대는 어떤 세대인가요?
중점조사 대상 세대는 복지 취약계층, 사망 의심자, 장기 결석 아동 등입니다.
조사 기피 시 부과되는 과태료는 얼마인가요?
조사를 기피할 경우 최대 5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