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1과 우분투 듀얼 부팅에서 우분투 제거하기



윈도우 11과 우분투 듀얼 부팅에서 우분투 제거하기

윈도우 11과 우분투를 듀얼 부팅으로 설정한 후, 우분투를 제거하고 윈도우만 남기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 과정은 시스템의 부팅 관리자를 수정하고, 우분투 파티션을 삭제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우분투 제거 전 준비 사항

시스템 백업

우선, 중요한 데이터는 반드시 백업하시기 바랍니다. 우분투에서 사용하던 파일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USB 드라이브 또는 외부 저장장치에 데이터를 복사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부팅 매니저 확인

우분투를 제거하기 전, 현재 사용 중인 부팅 매니저를 확인하세요. 일반적으로 GRUB(그럽)이 사용됩니다. GRUB 설정에 따라 부팅 옵션이 결정되므로, 이 부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우분투 제거 방법

1. 우분투 파티션 삭제

  1. 디스크 관리 열기: 윈도우에서 Win + X를 눌러 ‘디스크 관리’를 선택합니다.
  2. 우분투 파티션 찾기: 디스크 관리에서 우분투가 설치된 파티션을 찾습니다. 일반적으로 NTFS가 아닌 EXT4 또는 다른 리눅스 파일 시스템 형식입니다.
  3. 파티션 삭제: 해당 파티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여 ‘삭제’를 선택합니다. 이로 인해 해당 공간이 ‘할당되지 않음’ 상태가 됩니다.

2. GRUB 부트로더 재설정

우분투를 제거한 후 GRUB 부트로더를 수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윈도우 설치 미디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1. 윈도우 설치 미디어로 부팅: USB 또는 DVD를 통해 윈도우 설치 화면으로 진입합니다.
2. 복구 옵션 선택: 설치 화면에서 ‘컴퓨터 복구’를 선택한 후, ‘문제 해결’을 클릭합니다.
3. 명령 프롬프트 열기: ‘고급 옵션’에서 ‘명령 프롬프트’를 선택합니다.
4. 부트로더 복구 명령 실행: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부트로더를 재설정합니다.
bootrec /fixmbr
bootrec /fixboot
bootrec /rebuildbcd

3. 시스템 재부팅

모든 단계를 마친 후 시스템을 재부팅합니다. 이제 GRUB이 사라지고 윈도우만 부팅되어야 합니다.

주의사항

  • 데이터 손실 위험: 파티션을 삭제하는 과정에서 실수로 다른 중요한 파티션을 삭제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부팅 문제 발생 가능성: 부트로더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부팅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다시 부팅 미디어를 사용하여 복구 과정을 반복해야 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우분투를 삭제하면 데이터는 어떻게 되나요?

우분투 파티션을 삭제하면 해당 파티션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가 삭제됩니다. 따라서 필요하다면 미리 데이터를 백업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문2: 부팅 문제 발생 시 어떻게 해결하나요?

부팅 문제가 발생하면 윈도우 설치 미디어로 부팅하여 복구 옵션을 통해 부트로더를 재설정해야 합니다.

질문3: GRUB 외에 다른 부트로더를 사용할 수 있나요?

네, 다른 부트로더인 rEFInd나 Syslinux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자의 장단점이 있으니 필요에 따라 선택하면 됩니다.

질문4: 우분투 제거 후 남은 공간은 어떻게 활용하나요?

삭제된 우분투 파티션은 윈도우에서 할당되지 않은 공간으로 표시됩니다. 이를 다시 윈도우 파티션으로 확장하거나 새로운 파티션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질문5: 우분투를 다시 설치하고 싶으면 어떻게 하나요?

우분투를 다시 설치하려면 USB 드라이브에 우분투 설치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고, 부팅 순서를 변경한 후 설치 과정을 진행하면 됩니다.

이전 글: HUG 전세보증보험 가입 조건 및 비용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