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에서 지하철은 많은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교통수단입니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에는 혼잡도가 높아져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수도권 지하철 각 노선의 혼잡도를 분석하고, 그 특징과 혼잡도가 높은 구간을 정리하였습니다.
지하철 혼잡도의 정의와 특징
혼잡도 범위
지하철 혼잡도는 승객 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 여유: 80% 이하
- 보통: 80% ~ 130%
- 주의: 130% ~ 150%
- 혼잡: 150% 이상
혼잡도 수치의 의미
혼잡도 수치는 특정 상황을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지표가 있습니다:
- 34%: 좌석에 모두 앉아 있는 상태
- 100%: 한 칸에 약 160명 탑승하는 수준
- 125%: 이동 시 다소 부딪히는 정도
- 140%: 출입문 주변 혼잡, 어깨 부딪힘이 발생
- 200% 이상: 밀착되어 숨이 막힐 정도의 혼잡
수도권 지하철 노선별 혼잡도 최고 구간
수도권 지하철의 혼잡도는 역간 승하차 인원 통계를 기반으로 하여 측정됩니다. 아래는 2021년도 기준의 혼잡도 수치로, 코로나19 영향으로 감소한 승객 수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현재는 이 수치보다 더 높은 혼잡도가 예상됩니다.
서울 지하철 1~9호선 혼잡도
- 1호선: 구일 → 구로 일반열차 135%
- 2호선: 방배 → 서초 149%
- 3호선: 무악재 → 독립문 140%
- 4호선: 한성대 입구 → 혜화 150%
- 5호선: 길동 → 강동 132%
- 6호선: 망원 → 합정 95%
- 7호선: 중곡 → 군자 127%
- 8호선: 강동구청 → 몽촌토성 134%
- 9호선: 노량진 → 동작 급행열차 185%
서울 지하철의 혼잡도는 9호선이 가장 높았으며, 4호선과 2호선이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9호선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185%라는 높은 혼잡도를 기록하여 주목받았습니다.
수도권 경전철 혼잡도
- 김포골드라인: 고촌 → 김포공항 241%
- 우이신설선: 정릉 → 성신여대입구 125%
- 의정부경전철: 동오 → 의정부중앙 48%
- 용인에버라인: 기흥 → 강남대 40%
김포골드라인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혼잡도를 자랑하며, 수요에 비해 열차가 부족한 점이 혼잡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입니다.
수도권 광역철도 혼잡도
- 공항철도: 계양 → 김포공항 181%
- 경의중앙선: 행신 → 강매 111%
- 수인분당선: 강남구청 → 선정릉 143%
- 경춘선: 망우 → 상봉 139%
- 경강선: 판교 → 이매 112%
- 신분당선: 정자 → 판교 108%
공항철도는 인천과 서울을 연결하는 중요한 노선으로, 출퇴근 시간에 높은 혼잡도를 보입니다.
인천 지하철 혼잡도
- 인천 1호선: 예술회관 → 인천시청 80%
- 인천 2호선: 주안 → 주안국가산단 126%
인천 지하철 2호선은 경전철 설계로 인한 혼잡도가 높지만, 향후 4량으로 증가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혼잡도 정리 및 전망
수도권 지하철의 혼잡도는 노선별로 상이하며, 혼잡도가 높은 노선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문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김포골드라인과 9호선은 지속적인 혼잡이 예상되며, 대중교통 이용자들은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출퇴근 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지하철 혼잡도를 어떻게 측정하나요?
지하철 혼잡도는 역간 승하차 인원 통계를 기반으로 하여 측정됩니다.
질문2: 혼잡도가 가장 높은 노선은 어디인가요?
현재 혼잡도가 가장 높은 노선은 김포골드라인과 9호선입니다.
질문3: 혼잡도를 줄이기 위한 대안은 무엇인가요?
혼잡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추가 노선 개설 및 열차 증편이 필요합니다.
질문4: 혼잡도 100%는 어떤 상태를 의미하나요?
혼잡도 100%는 한 칸에 약 160명이 탑승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질문5: 혼잡한 시간대는 언제인가요?
출퇴근 시간대인 오전 7시부터 9시, 오후 6시부터 8시까지가 가장 혼잡합니다.
질문6: 혼잡도는 언제 가장 높아지나요?
대부분의 경우 출퇴근 시간에 혼잡도가 가장 높아집니다.
이전 글: 희귀동전 년도 및 가격표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