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직접 경험해본 결과로는, 맥북에서 M1, M2 칩을 활용하여 무료로 윈도우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사용자가 본인의 필요에 맞춰 윈도우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가상 머신을 통해 설치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1. UTM 프로그램 설치
- 1-1. UTM 다운로드하기
- 1-2. UTM 설치 및 실행
- 2. 윈도우 이미지 파일 준비하기
- 2-1. 윈도우 인사이더 프로그램 등록
- 2-2. 윈도우 11 이미지 파일 다운로드
- 3. UTM에서 윈도우 가상 머신 만들기
- 3-1. 가상 머신 생성하기
- 3-2. 설정 및 부팅 준비하기
- 4. 윈도우 가상 머신 부팅 및 설정
- 4-1. 작업 관리자 시작하기
- 4-2. SPICE 툴 설치하기
- 5. 윈도우 최종 설정 및 한글 입력기 설정
- 5-1. 한국어 패키지 설치하기
- 5-2. 키보드 레이아웃 설정하기
- 자주 묻는 질문 (FAQ)
- 윈도우 설치 시 비용이 드나요?
- UTM 사용이 복잡한가요?
- 윈도우 설치 후 성능은 어떤가요?
- 가상 머신에서의 윈도우 사용이 불편한가요?
- 함께보면 좋은글!
1. UTM 프로그램 설치
가장 먼저, 가상 머신을 설치하기 위해 UTM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UTM은 자유롭게 운영 체제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맥북 M1과 M2에서 윈도우와 같은 다른 운영 체제도 원활히 사용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1-1. UTM 다운로드하기
저는 UTM의 공식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다운로드 링크를 클릭했습니다. 맥 앱 스토어에서는 유료로 제공되기 때문에, 전용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하는 것이 현명하죠. 다운로드 후에는 UTM 아이콘을 애플리케이션 폴더로 드래그하여 아이콘을 복사합니다.
1-2. UTM 설치 및 실행
UTM 설치가 완료되면, 앱을 실행하는데 있어 ‘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앱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면 윈도우를 설치할 준비가 완료된 것입니다.
2. 윈도우 이미지 파일 준비하기
또 다음으로, 가상 머신에서 사용할 윈도우 운영 체제 이미지를 준비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무료 파일을 사용할 것입니다.
2-1. 윈도우 인사이더 프로그램 등록
윈도우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인사이더 프로그램에 등록해야 합니다. 제가 판단하기로는, 복잡한 과정이 아니니 조금만 참고 진행해보세요.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인사이더 프로그램에 등록합니다.
2-2. 윈도우 11 이미지 파일 다운로드
등록이 완료되면, 위 링크로 돌아가서 윈도우 11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파일 용량이 상당히 커서 다운로드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기다린 만큼 얻는 것도 많지 않을까요?
3. UTM에서 윈도우 가상 머신 만들기
모든 준비가 끝났다면, 이제 UTM을 통해 새로운 가상 머신을 만들어보겠습니다.
3-1. 가상 머신 생성하기
UTM을 실행하고 “새 가상 머신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가상화(Virtualize)를 클릭하여 Windows를 선택합니다. 다음 단계에서는 “Install Windows 10 or higher”와 “Import VHDX Image”를 체크하고, 앞서 다운로드한 윈도우 이미지를 선택합니다.
3-2. 설정 및 부팅 준비하기
CPU와 메모리는 기본 설정 그대로 두어도 괜찮습니다. 설정을 마무리하고 가상 머신을 부팅시켜 보세요. 처음 부팅할 때는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해야 하므로 이 부분에서 멈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윈도우 가상 머신 부팅 및 설정
가상 머신이 실행되는 동안 세부 설정을 진행하게 됩니다. 그러나 일부 환경에서 네트워크 설정에서 정체될 수 있습니다.
4-1. 작업 관리자 시작하기
이런 경우에는 ‘command + r’ 조합으로 ‘Run’ 앱을 켜고, cmd를 입력해 보세요. 그러고 나서 ‘taskmgr’을 입력하여 작업 관리자를 눌러 실행해 보세요.
4-2. SPICE 툴 설치하기
윈도우 탐색기에서 spice-guest-tools를 실행하여 설치합니다. 설치 후 재부팅하면, 윈도우 환경이 세팅됩니다.
5. 윈도우 최종 설정 및 한글 입력기 설정
윈도우가 실행된 이후, 한글 입력기를 설치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더합니다.
5-1. 한국어 패키지 설치하기
‘Settings > Time & language’로 이동하여 한국어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이 작업은 한국어 환경에 맞는 시스템 설정을 위한 준비 과정입니다.
5-2. 키보드 레이아웃 설정하기
마지막으로, 하드웨어 키보드 레이아웃을 ‘한글 키보드(101키)’로 변경하여 Shift + Space로 한/영 전환을 가능하게 설정해 줍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윈도우 설치 시 비용이 드나요?
무료로 윈도우 설치가 가능하며, UTM을 통해 가상 머신을 설정하면 추가 비용 없이 윈도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UTM 사용이 복잡한가요?
처음 설치할 때 몇 가지 단계를 필요로 하지만, 저는 복잡하지 않다고 생각해요. 따라서 적정한 도움에 따르면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설치 후 성능은 어떤가요?
M1, M2 칩은 우수한 성능을 보여서 충분히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가 사용했던 경험상 프로그램 실행도 빠르게 처리하더군요.
가상 머신에서의 윈도우 사용이 불편한가요?
처음에는 새로운 시스템 환경에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설정이 완료되면 크게 불편함을 느끼지 않았습니다.
들어보신 걸로, 맥북에서 무료로 윈도우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좀 더 이해가 가셨죠? 위 과정을 따라하시면 충분히 실현 가능하니 걱정 말고 시도해 보세요.
키워드: 맥북, M1, M2, 윈도우, 가상 머신, UTM, 설치, 무료, 한국어 설정, SPICE 툴, 윈도우 이미지